Study

일본문학의 흐름

부산인터넷뉴스 2007. 4. 14. 03:09
[【교안배성근교수】] [일본문학의흐름] 일본의 문학사조에 대한 심층적 고찰


[일본문학의흐름] 일본의 문학사조에 대한 심층적 고찰

목차

I.서론

II.일본의 근대 문학
(1)일본 근대문학의 시기구분
(2)일본 근대문학의 시대적 배경
(3)근대화와 문화
(4)일본 근대문학의 특징

III.일본 근대전기 문학의 전개
1.계몽기 문학
2.사실주의 문학
3.의고주의 문학
4.낭만주의 문학
5.자연주의 문학
6.탐미주의 문학

IV.일본 근대후기 문학의 전개
1.프롤레타리아 문학
2.신심리주의 문학
3.전향문학
4.전후파문학

V.결론

참고문헌



본문
(3)근대화와 문화
일본근대화의 지표는 서구적 근대였다. 서구적 근대에 있어 내면구조의 징표는 문예부흥과 종교개혁에 볼 수 있다 .문예부흥은 이탈리아를 선두로 해서 13세기 말부터 15세기 말에 걸쳐 신중심의 중세문화로부터 인간중심의 문화로의 재생을 도모하고, 개인을 해방시켰다. 종교개혁은 16세기 초 로마카톨릭 교권의 부패, 폐해로부터 탈출해서 프로테스탄트를 수립하고 인간주체를 회복했다. 서구적 근대로부터 시작된 자유민권운동에 의한 시민사회에 대한원망은 개인에게도 집단에게도 이상의 길을 제시해야 했고, 봉건성을 탈피할 힘이 된 천황제 절대주의는 서구적 근대 에너지를 빌려야 했던 일본에 잇어서는 도리어 근대의 개안을 억압하는 힘으로 작용했다. 일본 근대 문학은 그 모태인 근대를 끊임없이 비판하고 부정하는 존재로서 자기를 확립해야만 했다는 역설을 피할 수 없는 십자가로서의 역할을 짊어졌던 것이다. 따라서 일본근대문학사가 순문학의 역사로서 걸어온 필연성을 부정할 수 없지만, 소위 말하는 정사에 저변부의 주제보다 적극적으로 관련하려고 하는 일부의 경향을포함해서 대중문학을 어떻게 포괄하고, 통일해 가는가가 일본근대문학을 총체로서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4)일본 근대문학의 특징
서양문학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것은 소설이라 할 수 있는데 도쿠가와 기의 부녀자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수준 낮은 오락물이라고 하는 견해를 깨뜨리고 인간의 참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려고 하여 소설을 이 시대 문학의 주류가 되게 하였다. 그리하여 소설은 장편은 장편대로, 그리고 단편은 단편대로 일본의 근대화 과정을 다면적이고 다각적으로 반영하게 되엇다. 근대문학은 근대사회를 배경으로 하고, 근대사회를 살아가는 근대인의 삶을 추구한다. 근대사회의 본질은 시민사회이다. 그것은 자유주의, 개인주의를 기조로 한 민주주의에 의해 성장하였고,그 기구는 자본주의에 의해 움직여 왔다. 그 속에 살아가는 근대인은 봉건적인 신분 속박으로부터 해방된자유, 평등의 존재이고, 그 정신구조는 휴머니즘을 기조로한 근대적 자아에 눈드고 있다. 자본주의가 진행되고 그 구조적 모순이 노정되어 계급 대립이 격화됨에 따라 사회주의가 대두하고, 두 세계의 대립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오늘날에는 우주세기의 탄생이라고 일컬어지는 자연과학의 비약적인 진보를 받아들여 근대사회의 기구는 점점 복잡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시대에 사는 근대인의 사상이나 감정은 더욱 복잡하고 다채로워지고, 그것들을 배경으로 하는 근대문학에는 통절한 인간적 자각과 진지한 생의 탐구가 천착되기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근대문학은 리얼리즘 정신에 입각해서 인간을 탐구하고 인생을 추구하려고 하는 것으로 문학의 현상 속에서 소설과 평론이 주류를 형성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라 할 수 있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0) 2007.08.26
[文]許蘭雪軒과 小蘭雪(景蘭)  敦篤虛靜  (0) 2007.05.01
대중문학이란...  (0) 2007.04.14
과연 문학은 ...  (0) 2007.04.14
김용락 소시집  (0) 2007.04.14